코딩 테스트124 백준 4195 - 친구 네트워크 (자바 - 분리 집합(Disjoint Set)) 코딩 테스트 문제풀이 에서 처음으로 만난 분리 집합 문제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4195 4195번: 친구 네트워크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친구 관계의 수 F가 주어지며, 이 값은 100,000을 넘지 않는다. 다음 F개의 줄에는 친구 관계가 생긴 순서대로 주어진 www.acmicpc.net 처음 이 문제를 풀땐 두 사람의 이름이 입력될 때마다, 두 사람의 친구 네트워크 크기 값을 합산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므로 BFS 나 DFS 같은 단순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. 그런데 아무리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친구 네트워크의 크기를 구하여 합산해 보아도 정상적인 결과값을 출력하지 못했.. 2021. 12. 21. 백준 1074 - Z(자바 - 분할정복) 쿼드 트리를 익힌지 얼마 안되서 마주한 응용 문제 이 문제는 일반적인 쿼드 트리 구현으로 풀이를 해보다가 메모리 초과, 시간 초과를 몇번이나 맞닥 뜨린 끝에 질문 검색글을 보다가 얻은 힌트를 통해 겨우 풀이에 성공한 문제이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74 1074번: Z 한수는 크기가 2N × 2N인 2차원 배열을 Z모양으로 탐색하려고 한다. 예를 들어, 2×2배열을 왼쪽 위칸, 오른쪽 위칸, 왼쪽 아래칸, 오른쪽 아래칸 순서대로 방문하면 Z모양이다. N > 1인 경우, 배열을 www.acmicpc.net 일단 이 문제의 경우 기본적으로 쿼드 트리의 개념을 사용해야 하는것은 맞다. 그러나 조금 다른것이, 지금까지 했던 것처럼 쿼드 트리 자료구조를 통해 각 사분면 별로.. 2021. 12. 6. 백준 1992 - 쿼드 트리(자바 - 분할정복) 이전 글에 이어서 또다시 분할 정복을 활용하는 쿼드 트리 문제이다. 사실 색종이 만들기 문제를 성공적으로 풀고 나서 너무 감격한 나머지, 이 쿼드 트리라는 개념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관련 문제를 더 풀어보았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92 1992번: 쿼드트리 첫째 줄에는 영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 N 이 주어진다. N 은 언제나 2의 제곱수로 주어지며, 1 ≤ N ≤ 64의 범위를 가진다. 두 번째 줄부터는 길이 N의 문자열이 N개 들어온다. 각 문자열은 0 또 www.acmicpc.net 색종이 만들기와 비슷하나 조금 다르다! 이 문제의 경우 기본적으로 분할 정복 알고리즘을 이용한 쿼드 트리 구현이라는 점에 있어서 색종이 만들기와 같으나 요구하는 답안.. 2021. 12. 6. 백준 2630 - 색종이 만들기(자바 - 분할정복) 재귀 호출을 활용하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 숙지를 위해 풀어볼 문제를 찾던 중 맞닥뜨린 곤혹스러운 문제 색종이 문제는 퀵 정렬, 병합 정렬등 분할정복과 재귀가 활용되는 알고리즘을 익히고 관련문제를 풀면서 숙련도를 키우던 도중, 처음 마주쳤을 때 도대체 이걸 어떻게 풀어야 하나 하고 감이 안 잡히던 곤혹스러운 문제였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630 2630번: 색종이 만들기 첫째 줄에는 전체 종이의 한 변의 길이 N이 주어져 있다. N은 2, 4, 8, 16, 32, 64, 128 중 하나이다. 색종이의 각 가로줄의 정사각형칸들의 색이 윗줄부터 차례로 둘째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주어진다. www.acmicpc.net 쿼드 트리? 처음 들어보는데? 문제를 풀고 싶어도 도저.. 2021. 12. 6. 이전 1 ··· 28 29 30 3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