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  • 개발공부 및 일상적인 내용을 작성하는 블로그 입니다.

이론/네트워크6

네트워크 - TCP 3 & 4 way handshake * 연결을 성립하고 해제하는 과정을 말한다. 3 way handshake - 연결성립 TCP 는 정확한 정보 전송을 보장해야 한다. 따라서 통신하기에 앞서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하기 위해 3 way handshake 과정을 진행한다. 1.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SYN 패킷을 보냄(sequence : x) 2. 서버가 SYN(x) 를 받고, 클라이언트를 향해 패킷을 받았다는 신호인 ACK 와 SYN 패킷을 보냄(sequence : y, ACK : x + 1) 3.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응답으로 ACK(x+1) 와 SYN(y) 패킷을 받고, ACK(y+1) 를 서버로 보냄 이렇게 3번의 통신이 완료되면 연결이 성립된다. (3번이라 3 way handshake 인 것) 4 way handshake - 연결 해제 .. 2022. 1. 29.
네트워크 - OSI 7계층 OSI 7계층 7계층은 왜 나눌까?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,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. 1. 물리(Physical) - 리피터, 케이블, 허브 등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공간 즉,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진행한다. 2. 데이터 링크(Data Link) - 브릿지, 스위치 등 물리 계층으로 송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여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도와주는 역할 Mac 주소를 통해 통신한다. 프레임에 Mac 주소를 부여하고 에러검출, 재전송, 흐름제어를 진행한다. 3. 네트워크(Network) - 라우터, IP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. 라우터를 통해 이동할 경로를 선택하여 IP 주.. 2022. 1. 29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