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바스크립트 에서의 자료형
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위해 데이터의 타입을 식별 및 분류할수 있는 속성 : 자료형
자료형에는 크게 두 가지 타입이 있다.
- 원시 타입(값 중심)
- 객체 타입(참조 중심)
원시 타입의 자료형 종류
- Boolean, number, String, null, Undefined, Symbol (Symbol 의 경우 ES6 에서 추가되었다.)
- typeof 연산자로 데이터의 자료형을 식별 가능하다.
var a = 100;
typeof a
-> 출력 : "number"
number 자료형의 특징
자바스크립트에서 number 자료형은 다른 언어들과는 다르게 정수이든 소수이든 number 로 통일된다.(int, double 등으로 분류되는 C, JAVA 와는 구별되는 특징)
동등 연산자, 일치 연산자
동등 연산자는 비교하는 두 데이터의 자료형을 일치 시켰다는 가정하에 두 데이터의 값이 동일한지를 판별하는 연산자이다.
- 자동으로 자료형을 일치시킨 뒤 비교한다.(동등 하다 : ==, 동등하지 않다 : !=)
* 동등 연산자 예시
- 0 == '0' : true 반환 (자료형을 일치시킨 뒤 비교한다.)
일치 연산자는 자료형의 일치 여부 또한 포함시켜서 비교한다.
- 다른 언어에서의 일치 연산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.(일치 하다 : ===, 일치하지 않다 : !==)
* 일치 연산자 예시
- 0 === '0' : false 반환
가급적이면 일치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
자바스크립트 에서의 문자열
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은 한번 선언되면 변경이 불가능하다.
var name = "홍길동"
console.log(name[0])
console.log(name[0])
console.log(name[0])
name[2] = "순"
console.log(name)
-> 홍
-> 길
-> 동
-> 홍길동 : 한번 선언된 문자열은 변경이 불가능하다.(immutable 함)
- 자바에서 final 키워드를 붙여서 상수로 만드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.
null 자료형
아무 값도 갖지 않음을 뜻하는 자료형이다. 명시적으로 변수의 값이 없음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.
* null 타입을 검사할 때는 typeof 연산자가 아닌 === 과 같은 일치 연산자를 활용해야 한다.
var a = null;
typeof a;
a === null
-> "object" : a 의 자료형을 typeof 연산자로 검사하면 null 이 나와야 하는데 "object" 가 나온다.(자바스크립트 설계상의 오류)
-> true : 일치 연산자를 활용한 경우 정상적인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undefined 자료형
변수를 선언하고 값 할당을 하지 않은 경우 즉, 존재하지도 않는 객체로 접근했을 경우
- 아무 값도 가지지 않음을 뜻한다.
- 명시적으로 없음을 나타내야 할 경우 null 을 활용하고, 진짜 아직 아무 값도 할당 받지 않았을 경우 undefined 를 활용한다.
프레임워크를 위한 JavaScript ES6 - 구름EDU
자바스크립트 기반 웹 프레임워크, 막상 시작했지만 너무 막연하게 느껴지나요? 자바스크립트로 프레임워크를 '잘'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.
edu.goorm.io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- DOM 객체(2), 그리고 callback 함수 (0) | 2022.02.04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- DOM 객체(1) (0) | 2022.02.04 |
자바스크립트 - 변수 스코프와 바인딩, 그리고 this (0) | 2022.02.02 |
자바스크립트 - 자바스크립트 객체와 함수 (0) | 2022.02.02 |
자바스크립트 - 기본 (0) | 2022.02.01 |